가장 쉽게 PER 이해해보기
우리가 주식을 투자하게 되면 싸게 사서 비싸게 팔아야한다고 모든 사람들이 이야기합니다. 그럴려면 주식의 가치를 정확히 파악해야 하는데 이럴 때 우리는 몇 가지 지표를 보게 되고 그 중 하나가 PER가 아닌가 생각합니다.
그래서 오늘은 이 PER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.
□ PER(Price Earning Ratio) : 주가 수익 비율
- PER을 알려면 기업이 원래 얼마를 갖고 있는지, 지금은 수익을 얼마나 내는지 등을 알아야 합니다.
- 여기 1,000만원을 들여 세운 회사가 있다면 이 회사가 1년간 벌어 들이는 수익은 100만원, 그렇다면 이 회사의 가치는 자본금이 1,000만원이고 1년에 100만원을 벌고 있으니, 1,100만원의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.
☞ 결과적으로 1,100만원은 이 회사가 1년에 벌어들이는 수익 100만원의 11배가 되고 바로 이 11배가 PER가 되는 것입니다.
□ PER는 기업에 대한 '기대'를 반영
- PER = 주가 / 1주당 당기순이익
- 즉, 현재 주가를 1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값이 되고, 회사의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가, 다시 말해 이 회사가 얻은 순이익 1원이 시장에서 어느 정도로 평가되고 있느냐를 나타내는 값입니다.
- 결과적으로 PER가 높다면 현재 이 회사가 버는 수익에 비해 주가가 높다는 뜻이고 고평가 돼 있는 뜻입니다. 즉, PER가 높다는 건, 아직 실제로 버는 돈은 적은데 시장에서 높은 금액에 거래되고 있다는 뜻이 되는 겁니다.
- 하지만, PER의 절대적인 기준은 없습니다. 대체로 PER가 10 이하면 PER가 낮은 주식 '저PER주'라고 합니다.
- 단순히 PER가 낮은 주식을 사야한다. 라고 말할 순 없습니다. PER가 높으면 그만한 이유가 있다고 봐야합니다. 이를 테면 테슬라의 높은 PER는 전기차와 일론 머스크를 향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이기 때문입니다.
이처럼 PER를 보면 지금 시장이 이 기업의 성장을 얼마나 기대하고 있는지, 또 현재 주가가 적정한지를 알 수 있는니 주식을 시작하는 주린이들은 PER를 알고 있어야 합니다.
모든 매매의 결과는 투자자 본인의 책임입니다.
이 곳에 올려진 자료를 읽으시고
거래하신 투자의 모든 결과는
투자자 본인의 책임임을 분명히 밝혀 둡니다.
|
'주린이~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워렌 버핏이 추천한 ETF 뭐야? (1) | 2023.12.15 |
---|---|
가치에 대한 생각 : 오타니 쇼헤이 (12) | 2023.12.12 |
ROA 이해하기~~~ (feat. ROE 상관관계) (72) | 2023.12.01 |
ROE 이해하기~~~ (8) | 2023.11.28 |
PBR 이해하기~~~ (4) | 2023.11.24 |